[가계부]가계부 이야기(part 3) 비용 책정하기
안녕하세요 솜파입니다.
이전글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가계부]가계부 이야기(part 2) 관리계획 세우기
안녕하세요. 솜파입니다.^^ 이전글은 여기를 참고하세요.[가계부]가계부 이야기(part 1) 카테고리 나누기 [가계부]가계부 이야기(part 1) 카테고리 나누기안녕하세요 솜파 입니다.오늘은 제가 가계
prins.tistory.com
오늘은 세부적인 지출 비용을 어떻게 책정할 것인가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게요.
지출 비용 책정을 위해서 이전에 정리한 지출 항목들을 하나씩 확인하면서 실제 지출되는 비용을 확인합니다. 금액이 확인되었지만, 매번 같은 금액이 지출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래서 지출 항목 별로 몇 가지 예시를 보여드리면서 금액을 책정해 보도록 할게요.
■ 약간씩 변동이 있는 경우 (아파트 관리비, 가스비 등)
첫 번째로 약간씩 변동이 발생하는 항목들입니다. 아파트 관리비와 가스비가 여기에 해당하겠네요. 저는 지금 거주하는 집에서 한 달을 기준으로 18~22만 원 사이로 아파트 관리비가 나오고 있습니다. (전기세 포함) 평균 금액을 고려해서 20만 원을 관리비로 책정할게요.
가스비는 여름과 겨울의 차이가 심하죠? 가장 적게 나왔을 때는 9,000원 가장 많이 나왔을 때는 99,990원까지 나왔네요. 1년 기준으로 46만 원 조금 넘게 나왔으니 한 달 기준으로 약 38,333원 정도를 사용했습니다. 조금 과하지만 넉넉히 100,000원 정도로 가격을 정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가스를 많이 사용거나 관리비가 예상보다 더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서요.
(비용을 책정할 때 한달치 보다는 3~6개월 이상의 평균을 생각해서 책정해보세요.)
■ 변동이 없는 경우 (핸드폰 요금, 인터넷 요금, 각종 구독료, 저축 등)
두 번째로 핸드폰 요금과 같이 변동이 없는 경우입니다. 이용한 결제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으면 매달 같은 금액이 청구되는데, 저는 현재 79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선택요금 할인(25%)과 가족결합 할인(30%)으로 최종적으로 35,500원이 청구되네요. 이 금액은 변동되지 않는 금액이라 그대로 35,500원으로 책정하겠습니다.
구독료의 경우 35,200원, 4,990원, 7,890원처럼 끝자리가 십 원, 백 원 단위로 끝나는 경우가 많은데 깔끔한 숫자를 위해서 500원 단위로 반올림해서 35,500원, 5,000원, 8,000원으로 금액을 책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500원, 1,000원 또는 10,000원 단위로 금액을 책정하면 혹시나 신경 쓰지 못한 사이 금액이 인상되는, 예를 들어 보험료와 같이 한 번씩 요금이 인상되는 항목들에 대한 대비가 되겠죠?
■ 매월 지출되지 않지만, 목돈이 필요한 경우 (자동차와 관련된 비용, 여행 자금 등)
매달 지출되지 않지만 목돈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자동차의 보험료, 자동차 수리비, 여행 자금 등이 여기에 해당할 텐데, 제 경우 자동차의 유류비로 10만 원, 보험료+수리비로 10만 원 = 20만 원을 "자동차 저금"으로 책정해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따로 돈을 빼두면 목돈의 사용이 필요할 때 당황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어서 좋아요.
이제 위에서 작성한 몇가지 예시를 바탕으로 나머지 지출 항목들도 비용을 책정 해보세요. 다음 시간에는 비용이 책정되었으니 돈을 어떻게 분산 시킬지에 대해서 적어볼게요. 그럼 다음글로 만나요.^^
ps. 오늘 정리한 내용을 엑셀 파일로 올립니다. 여러분들도 한번 정리해보세요^^
(지출되는 금액은 - 부호를 붙였습니다.)